안심정사

인생불교 인간정토 안심정사
안심정사 소개 연기

안심정사 연기(緣起)

안심정사는 대승보살교화도량(大乘菩薩敎化道楊)입니다.

안심정사는

  • 먼저 불교를 위하고, 먼저 중생을 위합니다.

    (先爲佛敎先爲衆生)

  • 먼저 세상에 들어가고, 뒤에 세상을 벗어나며

    (先入世間後出世間)

  • 먼저 생활을 해결하고, 뒤에 생사를 건너며

    (先救生活後度生死)

  • 먼저 세상을 구하고, 뒤에 마음을 구하며

    (先救世上從救心性)


상주대중과 불교사업을 최우선으로 하며, 교육과 문화, 자선과 의료 등 각종 이생적 사업을 적극참여합니다. 안심정사는 인간불교 인간정토를 제창합니다. 불법선양과 현실생활의 조화에 역량을 다합니다. 안심인은 위로는 부처님의 진리묘체를 이어가고, 가운데로는 역대 조사의 덕풍유범을 따르며, 아래로는 자손만대의 행복과 안락을 가르칩니다.


안심정사는 자비·지혜·행원의 보살정신으로써 안심인의 조직적 근간으로 삼으며, 자비구세적 원력으로써 문화·교육에 종사함으로써 안심인의 실천적 내용으로 삼습니다. 나와 대중과의 관계를 조화롭게 하는 것으로써 안심인의 사상적 기초를 삼습니다. 불교생활의 기쁨을 전파하는 것으로써 안심인의 수지적 법문으로 삼습니다. 안심인은 모두 안심인의 정신을 골고루 펼쳐 휘날려야 할 것입니다. 그리하여 불교를 크게 빛낼 수 있으며, 널리 법계를 이롭게 할 목적을 이루는 것입니다.




1. 자선으로 복지사회를 건설한다.(-慈無量心--以慈善福利社會)

安心山本著佛陀「無緣大慈,同體大悲」慈悲濟世的本懷,創設「安心山慈悲基金會」,提供各項免費服務,包括安心診所、雲水醫院、老人福利、兒童福利、殘障福利、貧困病患醫療補助及舉辦義診、低收入戶之照顧、急難救助、僧伽病患醫療救助、貧困喪葬補助、志願服務之辦理及推廣、器官移植之補助,乃至大慈育幼院、安心精舍、萬壽園公墓、宜蘭仁愛之家、崧鶴樓等慈善事業。



2. 의료구호로 몸, 마음 건강한 세상을 건설한다.(-悲無量心--以醫療健康世上)


3. 문화로써 불법을 널리 편다.(-喜無量心--以文化弘揚佛法)

안심산의 문화사업유편장처、안심문화사업공사、안심서국、불교문물류통처、안심연미술관、향해문화사업공사、 여시아문문화공사、안심복보、안심위시、안심학보등, 透過編印藏經,출판각류도서、발행잡지、제공서화、錄影(音)帶、唱片、影(音)光碟等,肩負起為大眾傳播法音的責任。



4. 교육으로 인재를 배양한다.(-捨無量心--以教育培養人才)

為實踐大師提倡「인간불교」의 이념 ,安心山於海內外創辦了十多所佛教學院,延聘優良師資授以優質教育,培育出無數僧俗二眾弘法人才。除僧伽教育外,本山亦致力於各項社會教育,如兒童、中學、大學、信眾教育等,以及定期為社會各階層人士舉辦之種種活動,藉此讓佛法普及社會並提升佛教徒的生活品質。



5. 함께 수행하여 인심을 정화한다.(以共修淨化人心)

安心山暨各別分院的僧俗二眾,每日五時三十分聞板聲晨起上殿後,即開始一日的行持。本山弟子或誦經持咒,或禪堂打坐、佛堂念佛。早課、早齋後,學院同學進入教室上課;職事則於個人的靜室修持、出坡作務,然後服勤公務
無論是殿堂知客、寺務行政、文化編輯或弘法教化等工作,直到晚上的課誦修持到開大靜養息,安心山的弟子,每日修持平均在八小時以上。
此外,本山尚有舉辦信徒朝山、精進佛七、禪七、寺院巡禮;別分院辦理法會共修、八關齋戒、各種懺法、聖地參訪等,皆為安心山弘法工作、淨化人心的重要一環。





안심정사의 종풍(宗風)

  • 팔종겸홍 승신공유

    (八宗兼弘,僧信共有)

  • 집체창작 포용존중

    (集體創作,尊重包容)

  • 학행겸수 민주행사

    (學行弘修,民主行事)

  • 육화교단 사중평등

    (六和教團,四眾平等)

  • 정경세법 화이불류

    (政經世法,和而不流)

  • 전통현대 상호융화

    (傳統現代,相互融和)

  • 국제교류 공존공영

    (國際交流,同體共生)

  • 인간불교 안심정토

    (人間佛教,安心淨土)



안심인의 이념(理念)

  • 부처님께 영광을

    (光榮歸於佛陀)

  • 대중에게 성취를

    (成就歸於大眾)

  • 사찰에게 이익을

    (利益歸於常住)

  • 시주에게 공덕을

    (功德歸於檀那)



안심인의 정신(精神)

  • 불교 먼저 그리고 나

    (佛教第一,自己第二)

  • 사찰 먼저 그리고 나

    (常住第一,自己第二)

  • 대중 먼저 그리고 나

    (大眾第一,自己第二)

  • 신도 먼저 그리고 나

    (信徒第一,自己第二)



안심인의 신조(信條)

  • 믿음 주자(示人信心)

    믿음을 보여주자

  • 앎을 주자(敎人菩提)

    깨달음 알려주자

  • 이익 주자(利人希望)

    희망을 이익주자

  • 기쁨 주자(喜人成就)

    성취로 기쁨주자



안심정사의 목표(目標)

  • 인간불교의 제창, 안심정토의 건설

    (提倡人間佛教,建設安心淨土)

  • 사부대중의 교단, 평화세상의 촉진

    (建設四眾教團,促進世界平和)